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공공개혁으로서의 성과계약제도와 행정서비스
1. 성과중심적 관리와 성과계약제도
2. 전략적 기획과 인적자원관리 도구로서의 성과계약제도
3. 행정서비스 전달과 성과계약제도
4. 성과계약제도의 한계
제3장 성과계약제도의 사례연구 : OECD국가들의 사례
제1절 개요
제2절 노르웨이에서의 성과계약제도 활용
1. 배경
2. 예산배분문서
3. 최고관리자 보수 계약
4. 성과계약제도 도입시의 시사점
제3절 뉴질랜드 공공부문 성과계약제 사례 : 법무부와 법원국의 성과계약제
1. 성과계약제의 배경
2. 성과계약제에 대한 법적 근거
3. 법무부 및 법원국의 특징
4. 법무분야 성과계약제의 특징
5. 주요 결정과정과의 연계
6. 성과계약제에 대한 평가와 교훈
7. 성과계약제도 도입을 위한 시사점
제4절 미국 일리노이 주의 아동복지 서비스 성과계약 (Performance Based Contracting, State of ILLINOIS)
1. 아동 복지 서비스의 목표 및 성과계약의 배경
2. The Crisis in Permanency
3. Investing in Permanency
4. 성과계약의 변경과 관련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조치사항들
5. 성과계약 제도화를 위한 시사점
제4장 성과계약의 설계 방향
1. 계약내용의 구체성
2. 목표와 지표설정
3. 계약의 기간 (기한)
4. 유인시스템의 설정
5. 성과계약의 주체와 객체
6. 성과 산출의 평가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