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980년대 이래 정보화나 세계화와 같은 급변하는 국내외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자 선진국들은 제한된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중심의 행정서비스를 통한 국민만족과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공공관리 혹은 기업가적 정부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행정개혁을 시도해왔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중반부터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인 행정업무에서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적인 행정서비스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에 있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는 일찍부터 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 모델을 개발해왔을 뿐 아니라 계속 보완, 발전시켜왔다. 그러는 가운데 부분적인 민원행정서비스만이 아닌 온전한 기관의 행정서비스를 측정하여 기관의 행정서비스를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의 행정서비스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기에 이른 것이다. 민원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모델을 선구적으로 개발한 본 연구원에서 이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금 더 완전한 기관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모델을 개발하여 실무를 하시는 일선 행정기관의 여러 서비스 제공자들과 이 분야의 이론적인 연구를 하시는 학계의 여러분들께 귀중한 아이디어와 자료, 그리고 방향을 잡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제 3 절 연구 범위와 방법
제 2 장 기관행정 만족도 조사 배경
제 1 절 현행 만족도 조사의 현황 및 문제점
제 3 장 다양한 만족도 조사모델들
제 1 절 국외 모델
제 2 절 국내 모델
제 4 장 기관행정만족도 조사모델의 설계
제 1 절 현황
제 2 절 공통지표
제 3 절 기관별 조사모델에 들어갈 내용
제 5 장 결 론: 기관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모델의 구축 방향
제 1 절 절차적 형식 vs. 본질적 내용
제 2 절 정부의 행정 경쟁력
제 3 절 조사모델 및 방법상의 방향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