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980년대 이래 정보화나 세계화와 같은 급변하는 국내외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선진국들은 제한된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중심의 행정서비스를 통한 국민만족과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공공관리 혹은 기업가적 정부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행정개혁을 시도해왔습니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중반부터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인 행정업무에서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적인 행정서비스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는 일찍부터 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 모델을 개발해왔을 뿐 아니라 계속 보완, 발전시켜왔습니다. 금년으로 여섯 번째 조사하는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는 조사결과 에서 나타나듯이 서비스 수준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존의 조사모델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이 등장하는 인터넷민원을 비롯한 모델의 보완 및 개선과 분석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가 실무를 하시는 일선 행정기관의 여러 서비스 제공자들과 이 분야의 이론적인 연구를 하시는 학계의 여러분들께 귀중한 아이디 어와 자료, 그리고 방향을 잡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론
제2장 국민고객만족도 종합결과
제1절 고객만족도 구성요소별 가중치 분석
제2절 2002년 종합만족도 결과 및 분석
제3절 차원별 및 세부문항별 만족수준
제4절 민원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과 개선방향
제3장 중앙행정기관별 고객만족도 개관
1. 재정경제부
2. 교육인적자원부
3. 통일부
4. 외교통상부
5. 법무부
6. 국방부
7. 행정자치부
8. 과학기술부
9. 문화관광부
10. 농림부
11. 산업자원부
12. 정보통신부
13. 보건복지부
14. 환경부
15. 노동부
16. 여성부
17. 건설교통부
18. 해양수산부
19. 기획예산처
20. 법제처
21. 국가보훈처
22. 공정거래위원회
23. 금융감독위원회
24.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5. 국세청
26. 관세청
27. 조달청
28. 통계청
29. 대검찰청
30. 병무청
31. 경찰청
32. 기상청
33. 문화재청
34. 농촌진흥청
35. 산림청
36. 중소기업청
37. 특허청
38. 식품의약품안정청
39. 철도청
40. 해양경찰청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내용요약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