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기관평가제도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제1절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기관평가의 개념
4. 기관평가의 목적
제2절 기관평가제도 현황 및 실태
1. 평가 조직 및 관련기구
2. 평가대상영역
3. 평가방식
4. 평가결과의 활용실태
제3절 제도운영실태에 관한 실증적 분석
1. 개념적 분석틀(Conceptual Framework)
2. 자료수집 방법
3. 설문조사결과 분석
4. 분석결과의 시사점과 과제
제4절 정책제언 및 결론
1. 조직 및 인적분야
2. 평가내용 및 평가대상영역
제2장 주요정책과제 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평가기준
1. 평가제도의 절차
2. 평가기준
제3절 평가모형의 비교를 위한 준거 틀
1. Chelimsky의 평가접근방법의 목적과 유형
2. Rutman의 평가성 사정
3. Anderson & Ball의 평가모형
4. 미국 부시행정부의 정책제안(Program Initiatives)
제4절 주요정책과제 평가제도의 반성과 개선방향 모색
1. 평가절차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공통 평가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 주요 정책과제 평가의 평가정책과제 분류방안
4. 평가전문위원의 활용
제3장 기관역량평가모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제1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제2절 기관역량평가제도의 이론적 고찰과 분석틀
1. 기관역량의 개념적 정의
2. 기관역량평가제도의 유형
제3절 중앙부처 기관역량평가제도의 실태 분석
1. 정부업무평가제도 도입배경
2.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의 주요내용
3. 정부부처 기관역량평가 현황
4. 정부부처 기관역량평가 모형의 문제점
제4절 기관역량평가모형의 개선방안
제5절 기관역량평가모형의 개선안
제6절 결론
제4장 정부업무 만족도 평가에 있어 대상집단의 인식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1. 주요정책과제에 대한 국민만족도 조사 개념
2. 체감효과와 국민만족도의 정의
3. 연구분석의 틀
제3절 연구분석과 결과
1. 주요정책과제에 대한 인지도와 인지경로 분석결과
2. 주요정책과제 국민만족도의 제고효과 분석결과
3. 국민만족도 조사항목의 중요성과 우선성 분석결과
4. 국민만족도 조사 영향요인분석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회귀분석결과
5. 분석결과의 논의
제4절 결론
제5장 민원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 모델의 고찰 및 개선방안
제1절 서론
제2절 고객만족도 조사제도의 기본적 성격 및 발전
1. 제한적인 고객의 이해
2. 정부의 행정경쟁력:
제3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