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을 위한 이론과 모형에 대한 평가
제1절 이론, 모형, 그리고 접근 : 연계성과 차이
제2절 기존의 조직진단 모형과 새로운 변화
1. 기존의 조직진단 모형들 : 개방체계 모형들
2. 조직진단 모형의 벼화 : 흐름, 과정, 자생력
제3절 공공부문의 특성과 조직진단 모형 적용의 한계, 유의사항
제3장 조직 진단의 실제 사례 분석
제1절 ' 98년도의 전정부적 조직진단 사례 분석
1. 기관 미션의 재설계
2. 기능의 변화와 재설계
3, 조직구조의 개편
4. 인력구조의 개편
5. 성과관리체계의 구성
제2절 미국의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사례 : 방법론을 중심으로
1. 미국 노동부의 CPI 프로그램 진단 : SWOT 분석기법의 활용
2. 미 연방정부의 조달행정 혁신 진단 : BSC 분석기법의 활용
3. 직무훈련 프로그램의 생산성 평가 : DEA 분석기법의 활용
4. New Jersey Initiative Program : GPP 모형의 활용
5. 벤치마킹 : 오레곤 주의 Benchmark Performance Report
제4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문제와 한계
제1절 조직진단의 절차와 진단환경의 문제
1. 진단목적의 모호성 혹은 목적에 대한 인식의 불일치
2. 조직진단의 절차와 내용에 대한 생소함
3. 공공부문의 특성에 대한 오해와 무지
4. 비협력적인 진단과정과 피드백의 부실함
제2절 공공부문 진단을 위한 방법론상의 문제
1. 공공부문 진단을 위한 적합한 모형과 방법론의 부재
2.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불균형성과 자료의 부정확성
제5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개선방안
제1절 조직진단의 절차적 개선방안
1. 조직진단의 목적과 인식의 공유 강화
2. 협동적 조직진단 체계의 형성
제2절 조직진단의 방법론적 개선방안
1. 목적에 적합한 모형과 방법론의 선택
2. 양적인 자료와 질적인 자료의 복합적 활용 : 질적 자료의 활용 증대
제3절 결어 : 진단의 일반적 절차와 점검(check-list)
1. 진단 전 단계
2. 조직진단 실제 작업단계
3. 진단 후 단계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