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참여정부 출범이래 지속적인 행정개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직간접적 참여를 제고하고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취지에서 정부의 민원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통합적 민원상담 안내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통합적인 민원상담 및 안내시스템은 콜센타와 같은 유형의 민원 기관을 전 정부적 차원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많은 국가에서 전자정부 추진전략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부문에서 많은 사례가 존재하며, 일부 공공기관에서도 활용폭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결론은 통합적 민원상담 안내시스템이 모든 민원의 처리를 담당하는 기관이 되기보다는 행정기관에 대한 국민들의 접근성을 제고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현재의 고충처리위원회의 기능을 확장하여 부가적인 기능으로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전화와 인터넷을 포함한 모든 미디어가 수단으로서 활용되며, 전국단일의 대표번호시스템과 음성인식에 의한 지능형 ARS시스템을 구비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더불어 민원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상담안내원 이외에 행정전문가들로 구성된 민원전문가들의 팀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제 2 장 행정혁신과 통합민원 시스템
1. 행정혁신과 민원행정
2. 기존 민원 시스템들에 대한 분석 및 평가
3. 기존 민원시스템들에 대한 평가
4. 전국적 민원 통합 시스템의 필요성
제 3 장 통합민원 시스템의 대상, 수단 및 기능
1. 무엇을 통합할 것인가
2. 통합민원 시스템의 대상민원, 기관, 전달수단
제 4 장 민원통합 시스템 대안의 구체화
1. 민원통합 시스템의 구축 방향
2. 통합민원 시스템의 기능 및 업무프로세스
3. 통합민원 시스템의 형태와 업무프로세스에 관한 대안간 비교
4. 최종 대안의 구체화
5. 통합민원시스템의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제 5 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