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우리나라의 공공연구기관, 특히 정부출연기관이 연구회중심체제로 바뀐 지도 여러 해가 지났다. 커다란 틀은 바꿨지만 내부의 틀은 한창 정비 중에 있는 것 같다. 이공계 연구기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비교적 높은 반면 인문사회계 연구기관에 대한 연구조사는 매우 빈약한 상태에 있다. 연구기관의 조직이나 운영체제에 대한 연구는 간혹 보이지만 연구기관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연구원들에 대한 처우나 관리를 조사한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공공연구기관의 인적자원인 연구원들의 위상은 과거보다 열악하여 유능한 인재들을 민간연구소나 대학교로 지속적으로 빼앗기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공공연구기관의 현실에서 볼 때 선진국 공공연구기관들은 어떻게 인사관리를 하여 유능한 연구원들을 유치하고 유지하는지 그 관리체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반드시 선진국가들의 공공연구기관들이 인사관리를 잘하고 있다든지 그들의 제도가 더 낫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들은 그러한 대학과 민간연구기관 사이에서 어떠한 압력을 받고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 만일 배울만한 것이 있으면 배우고 버릴 것이 있으면 버리고자 하였다.
미국의 공공연구기관의 경우 개인이나 단체, 기업들의 기부금이나 기여금 등이 연구기관의 재정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명실상부한 공공성을 띄고 있어 정부 출연금에 의지하여 공공성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공공연구기관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젊은 인재들을 인턴으로 활용함으로 공공연구기관의 사명의 하나인 교육과 훈련을 다할 뿐 아니라 젊은 인재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미국의 공공연구기관들은 각 연구원을 채용할 때 매우 상세한 직무명세서에 의한 채용을 함으로 보다 효율적인 인재 선발과 관리를 하고 있다. 성과평가의 경우에 있어서 상급자의 평가를해당 직원이 볼 수 있고 평가결과를 갖고 함께 대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어 평가가 단순한 평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업무의 개선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직원 자신이 사전평가표에 기록하게 되어있는 내용에는 자신이 이룩한 업적 외에 어떤 부분에서 일하면서 만족을 느꼈는지, 일의 내용에서 어떤부분이 바뀌어야 하는 지, 일하면서 느낀 문제점, 상사가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해주었으면 하는지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기술하도록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담당업무나 업무실적, 수행기간 등 만을 기술하도록 되어있는 우리나라 공공연구기관의 업무실적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대학이나 민간연구소 사이에서 비교적 확고한 자리를 잡고 인사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공공연구기관들은 유능한 인재의 유치 및 유지에 있어서 우리나라보다는 위기감을 덜 느끼고 따라서 압력도 덜 받고 있는 것 같다. 업적평가에서부터 평가지표나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연구원들이 대학이나 민간연구소를 항상 동경하거나 많이 이탈하고 있지는 않다.
미국의 공공연구기관들은 인사관리담당자들이 보다 나은 인사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정보 및 의견교환을 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회의도하고 조사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공연구기관들의 인사관리에 대한 수동적이고 폐쇄적인 태도는 항상 신선한 아이디어의 접목으로 연구기관에 활력소를 불어넣어 줄 것이다.
목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제 2절 연구의 의의 및 목적
제 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 2장 미국의 공공연구기관
제 1절 서론 및 개관
제 2절 브루킹스 연구소 (The Brookings Institution)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성과평가
3. 직원의 혜택
4. 시사점
제 3절 헤리티지 재단 (The Heritage Foundation)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성과평가
3. 시사점
제 4절 도시문제 연구소 (The Urban Institute)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직원의 혜택
3. 인사관리 시스템의 변화
제 5절 케이토 연구소 (The Cato Institute)
제 3장 일본의 공공연구기관
제 1절 서론 및 개관
1. 공공연구기관의 변화
제 2절 총합연구개발기구 (NIRA)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인력관리체계
3. 인력관리 시스템의 변천
4. 시사점
제 3절 일본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 (The Japan Institute for Labour Policy and Training)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인력관리체계
제4절 국립교육정책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olicy Research)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인력관리체계
제 5절 아시아 경제연구소 (The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1. 조직 및 운영 일반
2. 인력관리체계
제 4장 우리나라의 공공연구기관
1. 임용제도
2. 업무평가제도
3. 동기 부여 및 인센티브제도
4. 인턴쉽 제도
5. 기타 혜택
제 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