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부는 2003년 참여정부 인사개혁 로드맵의 주요 과제중 하나로 고위 공무원단제도 도입을 상정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으며,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능력발전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참여정부의 국가비전을 실천하고 변화와 혁신주도자로서의 고위공무원단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측면을 외부환경 요구, 행정시스템의 역할 변화, 환류를 통한 학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환류를 통한 학습에서는 외부환경 변화와 행정시스템의 역할 변화에 고위공무원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며, 고위공무원의 교육훈련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환류 받아 교육훈련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서술하였다.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고위공무원이나 민간기업의 임원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위공무원단 제도화 수준이 높은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 국가의 고위공무원과 GE나 LG, 삼성, SK 등 국내외 민간기업 임원들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을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하여 중앙공무원교육원 고위정책과정 및 고급관리자과정을 이수한 공무원과 교육과정에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외국정부와 국내외 민간기업에 대한 비교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설계를 시도하였다.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모형설계는 설계방향, 설계전략, 그리고 설계내용으로 이루어진다.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설계방향으로는 i) 조직의 비전 및 전략과 교육훈련과의 연계, ii) 교육훈련의 전제로서 핵심역량모형의 구성과 활용, iii) 전통적 교육훈련의 핵심학습으로 전환, iv) 다양한 학습전략 또는 방법의 활용, v) 성과중심의 교육훈련 평가 및 활용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이버학습(e-learning), 행동학습(action learning),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다양한 교육훈련기법이 교육훈련목적에 따라 탄력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설계를 위하여 국내외 고위공무원 및 기업의 임원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고, 고위공무원단 후보자와 재직자 대상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참여정부의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과 이들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문제는 제도의 도입과 토착화에 관련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국내외 민간기업이나 외국정부에서 도입되거나 시행하고 있는 고위간부 및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각종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우리의 행정환경에 적합한 것인지를 충분히 검토한 후 채택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필요성과 의의
제1절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의의
1. 고위공무원단의 의의
2.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개념
제2절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 필요성
1. 외부환경요구
2. 행정시스템의 역할변화
3. 환류(Feedback)를 통한 학습
제3장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수요조사와 핵심역량모형
제1절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수요조사
1. 교육훈련수요조사의 의의
2. 교육훈련 수요조사의 내용
3. 교육훈련수요조사의 방법
제2절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수요: 핵심역량모형
1.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 의의
2.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모형
3. 고위공무원단의 핵심역량모형의 활용
제4장 한국의 고위공무원 대상 교육훈련 현황
제1절 중앙공무원교육원의 고위공무원대상 교육훈련 현황
1. 고위정책과정(2-3급 대상)
2. 고급관리자과정(4급 대상)
제2절 국가전문행정연수원의 지방고위공무원 대상 교육훈련 현황
제3절 민간기업의 고위간부대상 교육훈련 현황
1. GE의 고위간부 교육훈련 현황
2. 삼성의 고위간부 교육훈련 현황
3. LG의 고위간부 교육훈련 현황
4. SK의 고위간부 교육훈련 현황
제5장 외국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현황
제1절 미국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1. 연방관리자연수원(Federal Executive Institute: FEI)
2. 관리능력 개발센터(Management Development Center)
3. 태평양 리더십 아카데미(Pacific Leadership Academy)
4. 미국농림부교육원 고급관리자단 능력개발세미나
5. 하버드 대학교의 케네디스쿨 리더십센터
6. 조지워싱턴 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
7.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제2절 영국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1. 고위관리자 후보과정(Preparing for Top Management)
2. 고위관리자 역량개발 프로그램
3. 고위관리자 프로그램(Top Management Programme)
제3절 캐나다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제4절 호주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
제5절 외국 고위공무원 교육훈련의 특징분석
1. 핵심역량 배양·강화 위주의 교육훈련
2. 현안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행동학습 도입
3. 사례연구·토의 등 다양한 교육방법 활용
4. 체계적 교육훈련 및 학습
제6장 한국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
제1절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설계
제2절 한국의 고위공무원단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
1.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설계방향
2.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설계전략
3. 고위공무원단의 교육훈련프로그램 모형설계내용
제7장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