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부의 경쟁력 제고 및 효과적인 국정개혁 추진을 위해서는 공무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공무원 교육훈련의 혁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공무원 교육훈련의 패러다임 전환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이 방향성 위에서 교육훈련 혁신 과제와 로드맵 형식의 구체적인 추진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행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교육훈련 정책과 운영측면,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측면, 교육훈련 기관 운영 측면, 그리고 교육훈련과 인사제도와의 연계성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또한 향후 공무원 교육훈련의 혁신방향 설정을 위해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 공공부문 및 삼성 등 초일류기업의 최근 인적자원개발 동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 교육훈련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및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공무원 교육훈련 혁신의 비전 및 목표, 혁신전략 및 주요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 위에서 공직자로서의 기본가치 함양교육 강화, 고위공무원 및 핵심인재 양성교육 강화, 교육을 통한 공직사회 변화와 혁신 촉진, 수요자중심의 고객지향적 맞춤교육 강화, 사이버교육 접목 및 정보시스템 활용 강화, 공무원 상시 능력개발 체제 구축, 정부 인적자원개발 기능의 강화, 교육훈련기관의 총체적인 자기혁신 등 분야별 교육훈련 혁신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 1 장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제 1 절 연구의 의의 및 목적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 3 절 로드맵의 의의와 로드맵 작성방법
1. 로드맵의 의의
2. 교육훈련 훈련 로드맵 작성방법
제 2 장 공무원 교육훈련의 현황 및 문제점
제 1 절 공무원 교육훈련의 일반 현황
제 2 절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1. 교육훈련 정책과 운영 측면의 문제점
2.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측면의 문제점
3. 교육훈련 기관 운영 측면의 문제점
4. 교육훈련과 인사제도와의 연계성 측면의 문제점
제 3 장 선진국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교육훈련 발전동향
제 1 절 미국의 공무원 인적자원개발기관의 전략 변화
제 2 절 호주와 캐나다의 공무원 인적자원개발기관의 전략 변화
제 3 절 영국의 공무원 인적자원개발기관의 전략 변화
제 4 절 지식기반경제에서의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변화 추세
제 5 절 민간 일류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전략의 변화 추세
제 6 절 선진국 및 민간부문 벤치마킹 시사점
제 4 장 공무원 교육훈련의 패러다임 전환과 발전방향
제 1 절 공무원 교육훈련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1. 공무원 교육훈련 발전전략 구상의 배경
2. 공공부문 교육훈련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제 2 절 공무원 교육훈련 혁신의 비전 및 전략
1. 인사개혁 로드맵과 교육훈련 혁신 로드맵
2. 공무원 교육훈련 혁신의 비전 및 목표
3. 공무원 교육훈련 혁신전략 및 주요과제
제 5 장 분야별 교육훈련 혁신 로드맵
제 1 절 공직자로서의 기본가치 함양교육 강화
제 2 절 고위공무원 및 핵심인재 양성교육 강화
제 3 절 교육을 통한 공직사회 변화와 혁신 촉진
제 4 절 수요자중심의 고객지향적 맞춤교육 강화
제 5 절 사이버교육 접목 및 정보시스템 활용 강화
제 6 절 공무원 상시 능력개발 체제 구축
제 7 절 정부 인적자원개발 기능의 강화
제 8 절 교육훈련기관의 총체적인 자기혁신
제 6 장 교육훈련 혁신 로드맵 실천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