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국가경쟁력과 부패와의 관계
제 1 절 국가경쟁력의 개념 및 제고의 필요성
1. 국가경쟁력의 의의
2. 국가경쟁력 제고의 필요성
제 2 절 국가경쟁력 측정지수
1. 국가경쟁력 측정기관
2. 국가경쟁력 측정지수의 비교
3.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도 지수
제 3 절 국가경쟁력과 부패인식도와의 상관관계
제3장 공공분야의 부패원인 및 특징
제 1 절 부패의 원인과 유형
1. 부패의 다양한 원인
2. 부패의 다양한 유형
제 2 절 부패의 특징
1. 공공분야 부패의 불변성
2. 공공분야 부패의 특정성과 관행성
3. 조직부패·체제부패로의 구조화 경향
4. 부패의 확산현상
5. 은밀성과 은폐성
6. 낮은 문제의식과 관용적 처리
제4장 부패방지정책 및 활동에 대한 평가
제 1 절 부패방지정책 및 활동의 내용
1. 해외의 최근동향
2. 국내의 최근동향
제 2 절 부패방지정책 및 활동의 평가
1. 반부패정책의 평가
2. 반부패활동의 평가
제5장 실질적 부패방지정책의 구축
제 1 절 부패방지정책의 필요성
1. 우리나라 부패문제의 현황
2.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반부패정책
제 2 절 공공분야의 정책과제
1. 행정정보공개제도의 확대
2. 행정환경의 투명성 제고
3. 부패행정기관 재정지원 삭감시스템도입
제6장 공무원 재량권행사의 투명성 강화
제 1 절 재량권의 개념 및 의의
1. 재량권의 개념
2. 재량권의 행사분야
제 2 절 재량권과 부패와의 상관관계
1. 재량권의 남용·일탈분야
2. 재량권과 부패와의 연계성
제7장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도입 및 적용
제 1 절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개념 및 의의
1.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개요
2.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의의
제 2 절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추진현황
1. 부패방지위원회의 부패영향평가제도
2. 부패영향평가 도입추진 및 법제화 현황
3. 부패영향평가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4. 부패영향평가 관련 해외사례
제 3 절 부패영향평가제도 모형
1. 부패방지위원회의 평가모형
2. 기존 부패지수 모형
3. 부패영향평가 모형(안)의 설계와 적용
제 4 절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정책방안
1. 부패영향평가 제도의 실시시기와 기능
2. 부패영향평가의 주체
3. 부패영향평가의 추진방안 및 실행전략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