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현재 정부정책의 품질향상과 고객지향적 행정서비스 제공의 모태가 되는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부의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 있는 BSC를 기반으로 한 정부성과평가시스템은 정부업무평가(기관평가)제도의 발전적모색차원에서 구축 중인 제도로, 조직의 미션과 비전달성을 위해 구성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의사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성과 평가시스템의 필요에 의해 그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에서 BSC는 재무(financial)고객(customer)내부 프로세스 (internal process)학습 및 성장 (learning and growth)의 4가지관점에 따라 기관의 전략과 비전을 가시화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구축활용되기 위해서는 조직 의 미션과 비전, 전략목표, 성과 목표, 성과지표를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개발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 기관의 주요정책목표 및 성과지표가 구체적 으로 설정되지 않아 현안위주로 기관평가를 수행한 것이 정부업무평가의 가장 큰 해결사안이 었다.
따라서 정부성과평가시스템에서의 BSC모델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첫째, BSC모델의 핵심 개념과 구조 등을 고찰하고, BSC관련 국내외 운영사례 고찰을 통해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앞의 제반사항들을 종합하여 BSC모델의 공공부문적용시 고려해야 할 핵심사항 및 시사점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제시하였다. 셋째, 실증분석으로, 중앙행정기관(부, 청, 처, 위원회)의 정부업무평가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기관의 BSC시스템 구축 운영과 관련한 제반사항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우리 정부업무 성과평가시스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주요 대안들을 모 색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BSC모델을 기반으로 한 정부성과평가 시스템 활용에 필요한 핵심변인 분석을 통해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 성과중심의 조직문화 정착 및 평가와 환류 프로세스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BSC관련 이론적 고찰
제1절 개념과 적용논리
1. BSC의 공공부문 도입 필요성
2. BSC모델의 핵심개념·구조
3.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의 BSC 차이
제2절 BSC 성과지표 및 고려원칙/ BSC관점의 핵심요인
1. 목표설정과 성과지표 개발
2. 공공부문에 있어 BSC관점의 핵심요인 도출
1) 학습과 성장/혁신 관점
2) 내부프로세스 관점
3) 고객 관점
4) 재무(자원) 관점
제3장 국내외 BSC 구축·운영사례
제1절 대한투자진흥공사(KOTRA)
1. BSC 평가모델 개요
2. 비전과 전략목표 도출과정
3. 성과측정 및 평가결과의 보상
제2절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Charlotte Mecklenburg
1. Scorecard 체계 및 결과
2. 전략계획 개요 및 핵심
제3절 BSC모델의 공공부문 적용시 고려사항 및 시사점
1. BSC 설계 및 접근과정 측면
2. 정부성과평가시스템 개선 측면
3. BSC 활용 측면
제4장 정부성과평가시스템에서의 BSC모델 활용을 위한 실증분석
제1절 조사방법 및 표본의 특성
제2절 설문조사 분석
1. BSC시스템 실행내용에 대한 인식
2. BSC 구축시 4가지 관점에 관한 만족도 및 중요도
3. 공공부문의BSC시스템구축·운영시5가지핵심관점의중요도
4. BSC 구축절차인 미션·비전·전략·목표·성과지표의 인식
5. BSC시스템에서의 선행지표와 후행지표에 대한 만족도와 적정비율
6. 기관의 BSC 구축·운영시 핵심성과지표 도출과정에서의 난이도
7. 핵심성과지표 개발시 고려해야 할 7가지 원칙에 대한 중요도
8. 성과평가수행을 위한 성과측정요인에 대한 만족도 및 중요도
9. BSC관점의 핵심요인에 대한 만족도 및 포트폴리오 분석
10. BSC 구축시 활용도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
11. BSC 구축·활용을 통한 예상효과의 중요도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