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행정서비스 기관의 공공서비스가 얼마나 생산적인가를 측정하기위한 각 기관의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구성하고, 지표에 의한 성과평가를 도입하는 방안과 전략 을 설계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해당기관의 성과를 지표를 통하여 나타냄으로써 그 기관의 업무에 대한 책임성을 확보하고 각 기관들이 상대적인 관점에서 생산성 수준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직접적인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개선방향과 분야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정부기관에 대한 성과평가는 대부분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 정책형성과정의 평가와 국민들의 만족도조사를 위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부처 중심의 성과평가에서 탈피하여 중앙부처의 정책을 집행하고, 행정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일선행정서비스 기관의 업무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일선서비스 행정 분야를 보건 의료(보건소), 안전 재난관리(소방서), 정보 통신(우체국), 복지 노동분야(직업훈련소), 교육 문화(도서관), 5개 서비스분야로 나누어 이에 해당하는 고유업무에 대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3 절 연구의 의의
제 2 장 지표개발의 이론적 배경
제 1 절 성과평가의 개념
제 2 절 정부의 성과관리 및 평가절차
제 3 장 생산성의 개념과 지표개발의 필요성
제 1 절 측정을 위한 생산성의 개념
1. 생산성의 개념
2. 생산성의 구성요소
3. 본 연구의 생산성의 개념
제 2 절 지표개발의 필요성
1. 생산성 측정의 일반적 활용
2. 일선서비스 행정기관의 생산성 측정
제 3 절 생산성 측정과 지표개발
1. 정부생산성 측정방법
2. 측정의 요건과 유형
3. 측정대상 및 개발모형
4. 지표의 장·단점
제 4 장 기관별 생산성지표
제 1 절 대상기관별 주요업무 선정
1. 업무선정의 근거 및 기준
2. 지표의 구성
제 2 절 각 기관의 지표
1. 보건소
2. 공공도서관
3. 소방서
4. 우체국
5. 직업훈련소
제 3 절 지표의 적용
1. 지표활용의 근거
2. 공공분야 성과관리와 BSC의 활용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