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부의 경쟁력 제고는 공무원의 역량강화와 밀접한 관련이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참여정부는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방안으로 고위공무원단제도를 2006년도에 도입할 계획이다. 공무원 가운데에서도 특히 고위공무원이 정부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고위공무원의 역량강화가 필수적인 것이다.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과 함께 고위공무원단에 진입하는 고위직공무원을 위한 새로운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필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인사위원회는 2005년에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고위공무원단제도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고위공무원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 성공의 요인을 추출하여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에의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미국의고위공무원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핵심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고위공무원단 후보자의 경쟁선발
2. 국가의 기본가치와 인성에 관한 교육의 강조
3. 민주적인 리더십의 강조
4. 상호학습과 네트워크의 활성화
5. 외부위탁교육의 활용
6. 교육훈련의 객관적인 평가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고위공무원 교육훈련의 기반이 되는 공무원의 핵심역량(core competence)에 관해 살펴보고, 현재 공무원을 포함한 직장인의 교육에서 각광받고 있는 문제해결형 학습(Action Learning)을 설명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고위공무원단의 구성과 그 핵심역량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중앙공무원교육원의 고위정책과정, 중앙인사위원회의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안), 그리고 미국의 고위공무원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미국의 고위공무원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준 여섯 가지 핵심요인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핵심요인을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교육생에 관한 설문조사 등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구체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에 여섯 가지의 핵심요인을 도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첫째, 고위공무원단에 진입하기를 원하는 희망자들은 중앙인사위원회에 신청서를 자유롭게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엄격한 심사를 위해서 중앙인사위원회 인력개발국 내에 평가를 위한 부서가 신설되어야 한다. 둘째, 집합교육기간에 국가의 기본가치와 인성에 관한 1일간의 집중교육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의 내용으로는 행정부 최고위층의 인사에 의한 행정부의 국정이념에 관한 강의, 법조계의 저명한 인사에 의한 국가가 지향하는 헌법적인 가치에 관한 강의, 그리고 학계에서 인정받은 저명한 인사에 의한 기본적인 인성에 관한 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미연방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에서 각각 일주일간의 ‘전략적 리더십 세미나’와 ‘집중기법 세미나’를 제공하듯이 적어도 2주 이상 개인별로 부족한 민주적인 리더십 역량을 보첫할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상호학습과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하여 한 포럼 당 교육생의 수를 20여명 내외로 조절하고,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앞서 제시했던 2주간의 합숙훈련의 기회는상호학습과 네트워크형성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다섯째, 중앙공무원교육원은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장기적으로는 독립채산제로) 운영되어야 외부교육기관과의 경쟁이 가능해질 것이다.또한, 교육기관간의 교육내용, 교육정보, 성적 등의 공유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훈련과 효과의 실제적인 인과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비용에 대비한 금전적 효과인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ROI)을 이용하여야 한다.이러한 평가분석방법을 토대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프로그램은 과감히 도태시켜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고위공무원의 핵심역량과 교육훈련
제1절 고위공무원의 핵심역량(core competence)
1. 핵심역량(core competence)
2. 공무원 핵심역량
3. 고위공무원 핵심역량
제2절 고위공무원의 교육훈련
1. 학습이론의 개관
2. 문제해결형 학습(Action Learning)
제3장 우리나라 고위공무원의 교육과정
제1절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단
1. 설립배경
2. 목표
3. 범위
4. 구조
5. 현황
제2절 고위공무원 핵심역량
1. 수평적 관계(Horizontal Relating)
2. 수직적 관계(Vertical Relating)
3. 업무수행(Working)
4. 사고(Thinking)
제3절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1. 중앙공무원교육원의 현황
2. 고위정책과정
3.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안)
제4장 미국의 고위공무원 교육과정
제1절 미국의 고위공무원단(Senior Executive Service)
1. 설립배경
2. 설립목표
3. 범위
4. 구조
제2절 핵심역량(Executive Core Qualifications: ECQs)
1. 변화 주도(Leading Change)
2. 사람 주도(Leading People)
3. 결과 중심(Results Driven)
4. 사업 통찰력(Business Acumen)
5. 연합구축/의사전달(Building Coalition/Communication)
제3절 미국의 고위공무원 교육훈련프로그램
1. 교육기관
2. 고위공무원단 관련 교육훈련프로그램
3. 연방고위공무원연수원과 경영개발원의 강의과정
4. 연방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
제5장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육훈련프로그램 비교분석
제1절 피교육자에 관한 설문조사
1. 우리나라 중앙공무원교육원의 고위정책과정
2. 미국 서부경영개발원(WMDC)의 관리직양성 세미나
3. 설문조사결과의 비교분석
제2절 미국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핵심요인 도출
1. 고위공무원단 후보자의 경쟁선발
2. 국가의 기본가치와 인성에 관한 교육
3. 민주적인 리더십의 강조
4. 상호학습과 네트워크의 활성화
5. 외부위탁교육의 활용
6. 교육훈련의 객관적인 평가
제6장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양성과정의 운영방안
제1절 고위공무원 교육훈련의 방향정립
제2절 핵심요인의 도입방안
1. 고위공무원단 후보자의 경쟁선발
2. 국가의 기본가치와 인성에 관한 교육
3. 민주적인 리더십의 강조
4. 상호학습과 네트워크의 활성화
5. 외부위탁교육의 활용
6. 교육훈련의 객관적인 평가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