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연구는 정부혁신의 저해요인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혁 신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비교하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어떤 요인이 혁신을 저해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러한 저 해요인 극복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가 제공하는 중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혁신의 내용, 조직구조 및 과정, 조직행동 및 리더십, 조직환경 측면에서 고르게 나타나 고 있다. 따라서 혁신은 총체적이고 다면적인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혁신을 조직 내부적 문제로만 국한해서 바라본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성공적인 혁신은 조직의 관리 적 차원을 넘어 조직 외부 환경과의 협조적인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가능할 것이다. 셋째,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저해요인은 조직 내부에서 의 이해관계이다.
따라서 혁신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는 한편 혁신이 조직구성원 모두에게 중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효과적인 설득전략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넷째, 혁신을 저해하는 또 다른 강력한 요인은 혁신 내용의 일회성, 편협성, 전시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에 따라 예상되는 비금전적 인센티브 역시 혁 신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목적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 2 장 참여정부의 정부혁신 현황
제 1 절 정부혁신의 일반적 의미와 필요성
1. 혁신의 개념과 유형
2. 정부혁신의 배경
3. 정부혁신의 특성
제 2 절 정부혁신에 대한 참여정부의 인식과 기본 틀
제 3 절 참여정부 정부혁신의 추진체계
1. 정부혁신의 로드맵
2. 정부혁신 추진기구
3. 정부혁신 변화관리
제 4 절 참여정부 정부혁신의 내용과 평가
1. 정부혁신의 대상과 내용
2. 정부혁신 관리평가시스템
제 3 장 정부혁신 저해요인의 이론적 고찰
제 1 절 정부혁신의 저해요인 - 기존연구의 검토
1. 본 연구의 기본 시각
2. 정부혁신의 단계
3.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저해요인들
제 2 절 정부혁신의 저해요인 - 분석틀
1. 혁신내용과 관련한 저해요인
2. 조직구조 및 과정과 관련한 저해요인
3. 조직행동 및 리더십과 관련한 저해요인
4. 조직환경과 관련된 저해요인
제 4 장 정부혁신 저해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제 1 절 실증분석 사례선정
1. 공통혁신과제
2. 고유혁신과제
3. 설문조사경위
제 2 절 설문조사 결과분석
제 3 절 분석결과의 시사점
1. 혁신내용과 관련한 저해요인
2. 조직구조 및 과정과 관련한 저해요인
3. 조직행동 및 리더십과 관련한 저해요인
4. 조직환경과 관련된 저해요인
제 5 장 결론: 정부혁신 저해요인의 극복방안
제 1 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제 2 절 저해요인 극복을 위한 Checklist 작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