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정부 정부혁신의 노력을 통하여 행정문 화 및 공무원 행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관찰됨에 따라 이를 과 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참여정부 초기부터 실시해 온 정부 조직진단의 문화·행태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재조사함으로써 변화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둘째, 행정자치부의 혁신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부처들의 혁신수 준과 문화·행태진단 결과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AHP분석을 사용하여 정부혁신을 저해하는 행정문화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넷째, 참여정부 들어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한 여러 제도·시스템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혁신이 공무원 행태와 행정문화 변화에 상당한 영향 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디민. 혁신평가의 수준과 행태·문화 수준과는 합치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행 혁신평가는 문화나 행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미약하므로 조직진단의 문화·행태진단의 도구를 혁신평가에 서 활용함으로써 각 부처의 변화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 이다. 셋째,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제도나 시스템이 고객위주뿐만아니라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가 잘 이해하고 도움받을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여러 제도나 시스템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단시간에 해결하기는 어려우므로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 하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연구의 분석틀
제1절 분석틀
1. 문화·행태의 의의
2. 분석틀
제2절 연구설계
1. 표본추출(sampling)
2. 문항구성
제3절 연구방법
1. 조직행태 진단 및 분석기법
2. 조직문화 진단 및 분석기법
제3장 분석결과
제1절 인구통계학적 설문 결과
1. 설문조사 자료수집 결과
제2절 행태진단 결과
1. 조직몰입
2. 직무만족도
3. 직무동기
4. 직무통제감
5. 직무탈진감
6. 집권화와 업무과다
제3절 문화진단 결과
1. 조직문화 경쟁가치모형
2. 행정문화 AHP
제4절 시스템 혁신
1. 일하는 방식의 변화
2. 앞으로의 일하는 방식의 변화
3. 정보의제관리제도
4. 정책품질관리시스템
5. 정책홍보관리시스템
6. 성과관리시스템
7. 지식관리시스템
8. 업무관리시스템
9.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데 기여한 시스템
제5절 분석결과와 정부혁신 수준간 관계
1. 조직행태
2. 조직문화
3. 시스템 혁신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혁신단계별 공무원 행태 및 행정문화
2.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