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기대 효과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정부와 국민행복
1. 행복의 개념과 요소
2. 국민행복과 국가의 역할
제2절 행복연구의 방법적 특징
1. 양적.통계적 접근
2. 질적.생애사적 접근
제3절 국민행복과 국가 정책
1. 경제성장과 국민행복
2. 사회발전과 국민행복
제3장 연구 설계
제1절 질적 연구 방법
1. 연구방법론의 특징-심층인터뷰와 Q 방법론
2. 조사대상자의 선정
3. 측정도구 및 절차
제2절 양적.통계적 연구 방법
1. 질적 연구 결과를 활용한 설문의 분석틀
2. 설문 문항
3. 설문조사의 방법
제4장 한국인의 행복 결정 요인의 발견-질적 연구의 결과
제1절 한국 성인들의 주관적 행복 인식
1. 한국 성인들의 전반적인 주관적 행복 인식
2. 한국 성인들의 주관적 행복 인식 유형 형성
3. 한국 성인들의 주관적 행복 인식 유형 구분의 심리적 기준 구성
제2절 행복감 인식 하위 유형별 핵심 요인 및 특징
1. 주관적 행복 인식의 유형별 특성
2. 유형별 국민행복 요소의 제안
제5장 국민행복 설문조사 결과 분석
제1절 행복에 대한 종합적 자기 평가 결과
1. 전반적 수준 및 국제 비교
2. 주관적 행복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2절 한국인의 행복 유형에 대한 설문 결과
1. Q 진술문의 설문 조사에의 활용
2. 유형 계산 결과
3. 각 행복 유형의 통계적 특징
4. 각 행복 유형의 통계적 특징의 시사점
제3절 가치관 - 신뢰, 정치성향, 탈물질주의
1. 일반화된 신뢰와 제도화된 신뢰 수준
2. 정치 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3. 탈물질주의와 주관적 행복감
제4절 희망 정책에 대한 설문
1. 희망 정책의 선별
2. 행복유형과 희망정책
제6장 결론: 국민행복의 제도적 관리를 위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
제1절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시사점과 정책 대안
1. 경제발전과 국민행복: 시사점과 정책 방향
2. 그 외 사회통계적 지표의 시사점과 정책 방향
3. 국민행복을 위한 기본적 전제 조건: 안전, 복지, 그리고 공정
제2절 유형별 행복 인식의 시사점과 정책 대안
1. 행복 1유형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2. 행복 2유형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3. 행복 3유형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제3절 결어: 국민행복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1. 국가적 차원의 국민행복계정 관리 방안
2. 국민들의 행복유형 활용 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