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오늘날 사회통합은 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사회의 분열과 갈등은 국가의 발전을 위한 에너지를 분산시켜 지속가능한 추동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우리사회와 같이 민주화가 심화되는 과정에 있는 경우 갈등의 표면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통합을 위한 정부의 갈등관리적 노력이 보다 중요하게 부각됩니다.
본 연구는 정부역량 지수화 연구의 두 번째 과제로서 오늘날 중요하게 부각되는 사회통합 부문에 초점을 맞추어 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사회통합지수는 우리사회의 통합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수치로서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의 이정표가 됩니다. 본 연구의 사회통합지수는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를 활용하였으며 여러 하위 지수를 포함하고 있어 사회통합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되는지, 정부가 어느 부분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지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목차
오늘날 사회통합은 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사회의 분열과 갈등은 국가의 발전을 위한 에너지를 분산시켜 지속가능한 추동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우리사회와 같이 민주화가 심화되는 과정에 있는 경우 갈등의 표면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통합을 위한 정부의 갈등관리적 노력이 보다 중요하게 부각됩니다.
본 연구는 정부역량 지수화 연구의 두 번째 과제로서 오늘날 중요하게 부각되는 사회통합 부문에 초점을 맞추어 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사회통합지수는 우리사회의 통합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수치로서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의 이정표가 됩니다. 본 연구의 사회통합지수는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를 활용하였으며 여러 하위 지수를 포함하고 있어 사회통합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되는지, 정부가 어느 부분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지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