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최근 몇 년간 있었던 여러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사회 전체적인 신뢰도가 감소된 상태
○ 2017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 열린 정부, 소통하는 정부를 표방
- 촛불집회로 촉발된 국민의 정치적 참여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이 정부에 대해 신뢰를 가지고, 참여하였을 때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능감을 가져야
- 사회구성원들의 개인 신뢰 및 정부/제도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정책운영의 기초자료로 이용
○ 정책수립, 학술연구, 정치적 이슈 발굴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기본 데이터 생산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3년 주기로 시행되고 있는 계속과제로서, 축적된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학술 및 정책적 활용에 기여
- 세 차례 실시된 기존 연구(2009, 2012, 2015년)에서는 신뢰와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2015년 조사에서는 정부신뢰, 개
인 및 사회신뢰, 거버넌스 간 상호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
- 2018년 연구에서는 기존 조사의 측정 틀을 유지함과 동시에 정부에 대한 평가를 신뢰와 기대로 세분화하여 측정함으로써 사회신뢰와 정부의 역량간의 실증적 고찰을 시도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1장 서 론 [김상현]
제2장 이론적 배경 [김상현]
제1절 사회자본과 신뢰
제2절 거버넌스
제3장 조사 설계 [김상현]
제1절 조사 설계
제2절 설문문항의 설계
제4장 분석 결과 [김상현]
제1절 신뢰에 대한 분석 결과
제2절 거버넌스에 대한 분석 결과
제5장 심층분석 및 비교분석 [김상현]
제1절 신뢰에 대한 분석 결과
제2절 신뢰수준별 집단비교 분석
제3절 거버넌스에 대한 분석 결과
제4절 시계열 비교
제6장 결 론 [김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