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정부기능분류(Business Rerefence Model)
● 정부기능분류(Business Reference Model, 이하 BRM)는 정부 각 부처기능의 수행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도입됨
● 현재 대통령훈령 제209호 「정부기능의 분류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의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의 업무를 기능 중심으로 분류한 체계’로 쓰이고 있음
● “기능분류란 중앙행정기관(대통령 및 국무총리 소속기관을 포함하며, 이하 “행정기관”이라 한다)의 업무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의 업무를 기능 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정부기능의 분류 및 관리에 관한 규정」 제2조)
- 기능별 분류는 ‘정부가 상시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정책분야・정책영역・대기능・중기능・소기능 및 단위과제 등 그 기능의 수준에 따라 분류한 체계’임(정부기능의 분류 및 관리에 관한 규정 제2조 2항)
- 가장 하위의 단위인 단위과제별로는 업무의 기본정보(수행기관, 수행부서, 기능유형 등), 속성정보(수행주체, 수행절차 등), 유관정보(법령, 지침, 규제, 예산 등), 업무편람(처리절차, 과정정보, 결과정보 등) 등 다양한 연계 정보를 일종의 메타정보로 연계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시스템임(이경호, 2014)
● 한국의 정부기능분류는 도입 당시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기능별로 분류할 뿐만 아니라 목적별로도 분류하고자 하였음
● 그러나 현재 목적별 분류체계는 사실상 쓰이지 않고 있으며, 기능별 분류체계만이 BRM 시스템을 통해 쓰이고 있음
{이하 본문 참조}
목차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Ⅱ 정부기능분류체계 데이터 현황 진단
1. SNA(Social Network Analysis) 분석
2. 분석결과
3. 핵심 행위자 분석
4. 하위집단 분석
5. 정부기관 간 관계 분석 – edge weight 도출
6. 소결
Ⅲ 교육자료 구성방안
1. BRM 관리 문제점 및 이슈
2. 단위과제 등록과 수정 관련 교육자료 구성방안
3. 소기능 등록과 수정관련 교육자료 구성방안
4. 주요 문의사항에 대한 간단업무처리 설명서(Quick Guide) 제공 84
Ⅳ 교육자료 활용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