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정부는 조직운영 효율화 방향에 따라 정부조직 및 인력운영의 혁신 방안을 강조
-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표방하며 정부조직의 진단 및 합리적 인력관리를 위해 데이터를 활용한 신규인력 필요성 및 인력 재배치 평가 계획을 발표
- 이를 통해 정부 기능을 종합 진단, 기능이 쇠퇴했거나 부처 곳곳에 유사한 기능을 하는 조직이 중복되는 현상을 막고자 함
● 조직관리 및 정원관리를 위한 지속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의 필요성
- 환경 및 기술 변화에 따른 정부 기능과 행정사무의 업무변화가 예상되는 바, 정부 조직관리를 위한 정부기능의 상시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
- 현 정부기능분류(Business Reference Model, 이하 BRM)는 2008년에 정부 각 부처기능의 수행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범정부적 체계로 도입됨. 정부기능분류체계는 정치・행정의 변화에도 그 기본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총제적이면서 신축적이어야 함
● 기능중심의 조직진단의 필요성
- 중장기적으로는 기능 중심의 조직(function focused organization) 진단으로 기 능 중복에 따른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방만한 조직 및 인력 운영을 예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의 기반 마련이 필요
- 이를 진단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을 위해 보다 기능 중심으로 분류된 BRM 마련이 필요함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사무의 업무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시 관리하기 위한 BRM 도입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① 중앙정부 조직 기능을 재식별하고 분류하기 위한 조직기능 및 업무량에 관 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② 정부조직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BRM을 재구축하며, ③ BRM 활용 방안을 제안하여, 이를 통해 정부 조직 관리의 합리성과 과학성을 제고하고자 함
[이하 본문 참조]
목차
I.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제3절 연구방법
II. 정부기능분류(BRM) 국내외 현황
제1절 정부기능분류(BRM) 국내 현황
1. BRM 분류 체계 및 운영 현황
2. 정부업무평가 자체평가(행정관리역량평가)상의 기능분류 관련 규정
제2절 정부기능분류(BRM) 관련 해외 현황
제3절 정부기능분류(BRM) 관련 선행연구
1. '기능' 관점에서 접근한 한국 중앙정부의 BRM에 관한 연구
2. '업무' 관점에서 접근한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직무분장과 BRM 연계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
제4절 중앙부처 정부기능분류(BRM) 운영 현황 및 문제점
1. 개념 및 목적
2. 운영 현황 및 문제점
III. 연구설계
제1절 연구설계
제2절 분석틀
제3절 연구방법
1.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2. 의미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IV. 질병관리청 FGI 조사 결과
제1절 질병관리청 정부기능분류체계(BRM) 현황
제2절 BRM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제3절 조직별 수행 기능-업무 유형 분석
제4절 단위과제와 매칭되지 않는 직제 및 시행규칙
제5절 소결
V. 질별관리청 업무분장표 기반 의미네트워크 분석
제1절 분석 방법
제2절 분석 결과
1. 질병관리청 전체 직무 분석
2. 직급별 직무: 3급 이상
3. 직급별 직무: 4-5급
4. 직급별 직무: 6-7급
5. 직급별 직무: 8-9급
6. 직급별 직무: 기타
7. 직렬별 직무: 보건 직렬
8. 직렬별 ㅈ기무: 연구 직렬
제3절 소결
VI. 질병관리청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개선 방안
제1절 기준 및 원칙 수립
제2절 개선 방안
VII. 결론
제1절 함의 및 시사점
제2절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