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앞으로의 시대는 환경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전에 예측하기 어려운 현실이 많이 등장할 것입니다. 국정운영에서는 시대변화에 걸맞게 분권화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대변화의 흐름과 분권화 조류에 호응하고,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분권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가진 실무자에게 가능한 한 재량권을 많이 위임하는 대신 자율성과 책임성에 입각하여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율성과 책임성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조직신뢰에 입각한 조직 관리가 중요합니다. 정부부처의 조직신뢰는 정부조직의 성과와 생산성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는 정부부처 조직신뢰의 현재 수준과 영향요인을 진단하고 조직신뢰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조직신뢰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조직신뢰의 제고방안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조직신뢰 관련 국내외 문헌 분석,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조직신뢰 연구의 분석모형을 구성하고 조직신뢰 제고의 정책방향과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최순영]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1. 연구의 범위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5
2. 연구의 방법 6
제2장 이론적 고찰 [최순영]
제1절 신뢰 12
1. 신뢰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12
2. 신뢰와 유사개념의 구분 17
3. 신뢰의 유형 19
4. 신뢰의 편익 24
제2절 조직신뢰 27
1. 조직신뢰의 개념 정의 27
2. 조직신뢰의 편익 29
제3절 본 연구에서의 조직신뢰 31
제3장 분석모형과 조사방법 [최순영]
제1절 분석모형의 설정 34
1. 선행연구의 분석모형 검토 34
2. 분석모형의 설정을 위한 변수의 도출 49
3. 본연구의 분석모형 63
제2절 설문조사의 설계와 조사방법 65
1. 설문조사의 설계 65
2. 조사방법 71
제4장 정부부처 조직신뢰의 진단과 영향요인 [최순영・조태준]
제1절 설문응답자의 특성 [최순영] 76
제2절 정부부처 조직신뢰와 관련 요인의 현황 진단 [최순영] 78
1. 조직에 대한 신뢰 78
2. 사람에 대한 신뢰 82
3. 인적자원관리 관행 84
4. 조직구조 88
5. 조직문화 90
6. 조직몰입과 조직 및 구성원의 성과 93
7. 기타: 공정한 직무수행 등 94
제3절 영향요인 분석 [최순영・조태준] 107
1.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최순영] 107
2. 조직에 대한 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회귀분석 [최순영] 119
3. 조직몰입과 조직 및 구성원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회귀분석 [최순영] 125
4. 구조방정식모형(SEM)에 의한 인과관계 분석 [조태준] 127
제4절 공무원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분석 [최순영] 134
1. 심층인터뷰 조사의 설계 134
2. 심층인터뷰 조사결과 분석 134
제5장 정부부처 조직신뢰의 제고방안 [최순영]
제1절 조직신뢰의 제고를 위한 정책대안 체계도 156
1. 조직신뢰의 영향요인 156
2. 조직신뢰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과 정책대안의 체계도 158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개선 161
1.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신뢰 161
2. 인적자원관리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대안 162
제3절 조직구조의 분권화 촉진과 공식화 완화 181
1. 조직구조와 조직신뢰 181
2. 조직구조의 분권화를 위한 정책대안 182
3. 공식화의 완화 210
제4절 조직문화의 개선 213
1.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213
2. 집단문화와 발전문화의 촉진 214
3. 위계문화의 완화: 수직적/권위적 공직문화의 혁신 220
4. 조직문화의 개선을 위한 기타 대안 221
제5절 기타 조직관리의 공정성 강화 222
제6장 요약 및 결론 [최순영]_ 225
참고문헌 _ 233